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 직급과 직책의 차이와 관계의 이해 : "지금은 왜 직책중심의 시대인가"(승진 이야기 Part.2) 직급과 직책의 차이와 관계의 이해 : "지금은 왜 직책중심의 시대인가"(승진이야기 Part.2)회사의 직급체계를 소개한 지난 글이 신입사원과 같은 사회초년생들이나 취업준비생들을 위한 글이었다면, 이번 글은 사회초년생들과 더불어 기존 재직자들도 명확히 확인하고 여러 생각을 해봤으면 하는 글입니다. 단순히 직급과 직책의 차이를 알고 있다 할지라도 경험적으로 익혀 명확히 정의가 어려운 경우도 많고, 실제 오랜 조직 경험으로 점점 두 개의 차이를 무시하거나 무뎌지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인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직급과 직책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차이점 및 두 개념의 관계를 고민하여 왜 지금 시대의 각 회사들이 직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직책중심으로 나아가고자 하는지 고민해 보는 것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직급 승.. 2024. 11. 10. "퇴사사유, 이직사유 최다 답변 Best 5 분석" : 이력서 작성과 면접 시 피할 수 없는 질문이라는 것을 알지만 아직 적합한 답을 찾지 못한 당신을 위해 "퇴사사유, 이직사유 최다 답변 Best5 분석" : 면접 시 피할 수 없는 질문이라는 것을 알지만 아직 적합한 답을 찾지 못한 당신을 위해채용시즌이 시작되며 면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면접에 소요되는 절대적 시간의 한계 때문일까 아니면 이 또한 나의 핑계일까 고민은 되지만 사실상 요즘은 경력직 면접 진행만 직접 하고 신입사원 면접은 팀원들에게 진행을 맡기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렇다 할지라도 경력직 면접 또한 타업무에 지장이 매우 높을 만큼 다양한 분야의 다수의 면접이 진행되고, 신입의 경우에도 1차 면접은 참석을 면할지라도 결국 2차 면접 이후부터는 불가항력적으로 참여해야 하기에 감사하게도 항상 면접자들의 변화되는 상황을 체감하게 됩니다. 서론이 길었지만 오늘은 경력직 면접에 필수적 질문 사항인 퇴.. 2024. 11. 3. 회사 직급구조(직급단계)를 이해하는 시간(승진 이야기 Part.1) 회사 직급구조(직급단계)를 이해하는 시간(승진이야기 Part.1)승진에 대한 이야기를 작성하고 싶었습니다. 승진심의 때에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대화가 오가는지, 승진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승진이 안되었을 경우 대처 방안은 무엇인지까지 작성하고 싶은 글이 너무 많았지만 월급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할 때에도 명세서 보는 방법부터 작성했기에 순차적으로 여러 이야기를 쉽게 풀 수 있었듯이 모든 글을 작성하는데 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직급에 대한 일반적 이야기와 직책과의 차이, 직급 단계를 축소하거나 지급을 없애는 소위 직제개편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여 최근 직급에 대한 트렌드를 공유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했습니다. 아무래도 법으로 정해져 해당 내용을 공유하는 월급, 연차, 근로시간에 대한 .. 2024. 9. 30. 신입사원이 성공을 위해 해야 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신입사원이 성공을 위해 해야 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무엇일까요?지난 글을 통해 신입사원이 하지 말아야 하는 한 가지를 소개했다면 이번에는 신입사원이 꼭 했으면 하는 한 가지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언제나 그랬듯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혹은 주변에서 언제나 들을 수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려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하기에 다소 주관적인 이야기일 수 있지만 다수의 관찰과 경험으로 얻은 나름의 생각을 공유한다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오늘의 글은 본인이 사회생활을 시작한 지 3년이 되지 않은 주니어 직급 까지를 대상으로 읽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본인이 직장 내에서 성공하고픈 분들을 대상으로 자존감이 높아 변화를 추구하는 분들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러한 분들께는 도움이 되는 글이나.. 2024. 9. 2. 취업, 이직 회사 선택 시 중요한 기준 두 가지! 취업, 이직 회사 선택 시 중요한 기준 두 가지!거의 한 달 만에 글을 쓰는 느낌입니다. 정말 쓰고 싶은 글들이 많은데 요즘은 숨쉬기도 어려울 정도로 일이 많아 글쓰기는 엄두도 못 내고 있습니다. 물론 이 또한 핑계일 수도 있으나 화장실 가는 것도 참고 일하는 체험을 하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글을 쓰고 싶은 욕구를 조금이라도 달래고 머리로 알고는 있었지만 확신이 없었던 것이 최근 들어 확신에 가까워지는 단계에 접어들었기에 여기에 간단히 적어보고자 합니다.바로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으로 기억해야 하는 두 가지입니다. 취업이나 이직을 고민하는 분들께는 당장 원하는 회사에 입사하는 팁이 더 중요할지 모르나 결국 지나 보면 누구나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은 바로 회사의 선택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2024. 9. 1. 신입사원이 하지 말았으면 하는 딱 한 가지를 생각해봤습니다. 신입사원이 하지 말았으면 하는 딱 한 가지를 생각해 봤습니다.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사회초년생들에게 선배들은 꼰대가 된 것 마냥 많은 조언을 해주곤 합니다. 그것이 말투일 수도 있고, 복장, 인사법, 회식 자리에서의 에티켓 등 다양한 내용일 순 있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아무리 사회초년생일지라도 기본적으로 성인이기에 그들의 사고방식, 생활습관을 지적하고 컨트롤하는 것은 제가 보기엔 크게 도움이 안 되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요즘 같이 다양성이 존중되는 세상에서 기본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오히려 신입사원이 아니라 그들의 상위자들이, 직책자들에게 포용성을 요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HR(인사) 부서에서는 항상 고성과자들과 저성과자들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직원들을 파악.. 2024. 7. 25.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